작성자관리자
작성일2024.10.30
조회수673
2025년도 2월, 8월 석·박사 졸업예정자 학위논문 심사 제출 일정 및 작성 요령을 안내 하오니,
해당자는 내용을 숙지하여 학위논문 심사를 진행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교과목 이수현황·이수요건·학위논문 등 졸업에 관한 모든 사항은 학생 본인의 책임하에 실시하여야 합니다.
졸업 취소 등의 불이익 방지를 위하여 내용을 충분히 숙지하시고, 기한 내 필요한 절차를 완료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석사 졸업 예정자) 학위논문 심사 제출 일정 안내
※ 제출용 논문은 석 · 박사 학위논문작성 및 제출요령에 맞게 작성, 인쇄되어야 함.
1. 졸업예정자 예비사정표 제출 (2025. 1. 31. 까지 반도체공학대학원(semicon@kaist.ac.kr)으로 제출)
ㅇ 『붙임 1. 2025학년도 8월 졸업예정자 예비사정표』에 2025년 봄학기 이수 예정 과목을 포함하여 작성 , 학생 본인 및 지도교수 서명 필수
2. 학위논문 심사위원 구성
ㅇ 반도체공학대학원 참여교수 혹은 타 학과, KAIST 비전임 교원, 외부기관 전문가 등 심사위원장(지도교수)을 포함하여 총 3인으로 구성
3. 학위논문 심사 신청 (2025. 5. 6.까지 반도체공학대학원(semicon@kaist.ac.kr)로 제출
① 『붙임3-1.석사학위논문 심사위원 및 심사일정』 을 작성하여 제출 (지도교수님과 논의하여 장소를 확정 후 학생 본인이 직접 장소 예약 진행)
② 졸업관리시스템 학위논문 관리 페이지 작성
KAIST Portal > 학사시스템 > 졸업관리시스템 > 학위논문 관리 > (학생) 1. 논문기본정보, 2. 논문계획서, 3. 심사위원 위촉 정보 등록
4. 심사용 논문 제출 (2025. 5. 30.까지)
ㅇ 『붙임 3. 석·박사 학위논문 작성 및 제출 요령』 및 『붙임 4. Template』 를 확인 후 참고하여 심사용 논문 작성
ㅇ 심사용 논문 작성 후 논문심사위원회(심사위원장, 심사위원)에 이메일 송부 (제출 시 semicon@kaist.ac.kr을 참조)
5. 논문심사 기간 (2025. 6. 20.까지)
6. 논문심사 결과보고서 제출 (2025. 6. 27.까지 지도교수(혹은 학생)가 반도체공학대학원(E3-2, 1210호)으로 원본 서류 제출)
ㅇ KAIST Portal > 학사시스템 > 졸업관리시스템 > 학위논문 관리 > (학생) 4. 논문심사, 하단의 논문 심사결과 및 논문 심사 총평 양식 출력
> (심사위원) 해당 양식에 심사요지 작성 및 심사위원 서명 후 반도체공학대학원으로 제출
ㅇ KAIST 비전임 교원 및 외부기관 전문가를 위촉할 경우 『붙임 5. 논문심사료 청구서』 제출 필수
ㅇ 심사가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등 부득이한 사유로 친필서명이 어려운 경우, 『붙임 6. 서명 사본 승인서』 를 받아 진행 가능
7. 인쇄 논문 및 전자 학위논문 이용 동의서 제출 (2025. 7. 3. ~ 4.까지 반도체공학대학원(E3-2, 1210호)으로 제출)
① 인쇄논문 Hard Bound(실인 날인 필수) 2부, Soft Bound 2부 = 총 4부 제출
(유의사항) 인쇄 논문의 제목은 졸업관리시스템의 논문 제목과 동일해야 함
인쇄논문은 공개를 원칙으로 하며, 공개할 수 없는 특별한 사유가 있을 시, 『붙임 7. 인쇄학위논문 비공개 요청서』를 인쇄논문과 함께 제출
② 도서관 홈페이지에 전자학위논문 등록 후 『붙임 8. 전자 학위논문 이용 동의서』 제출
KAIST Portal > 도서관 > 도서관서비스 > 학위논문제출 > 등록
1. 박사학위 논문 계획 심사 및 최종 심사위원 구성
ㅇ 반도체공학대학원 참여교수 혹은 타 학과, KAIST 비전임 교원, 외부기관 전문가 등 심사위원장(지도교수)을 포함하여 총 5인으로 구성
ㅇ 심사위원 구성은 반드시 심사위원장(지도교수)와 충분한 논의를 거친 후 결정해야 함
ㅇ 반도체공학대학원 논문 심사 위원 구성 방법
- 심사위원장 : 지도교수
- 심사위원 1인 : 지도교수의 본 소속과 다른 반도체공학대학원 참여교수
- 심사위원 3인 : 반도체 분야 내외부 전문가 (반도체공학대학원 참여교수, 타 학과 교수, KAIST 비전임교원, 외부기관 전문가)
ex. 지도교수의 본 소속이 신소재공학과인 경우,
심사위원장(지도교수, 신소재), 심사위원 1인(전기, 물리, 기계, 생화공에 소속을 둔 반도체공학대학원 참여교수), 심사위원 3인(반도체 분야전문가 3인, 외부기관 전문가 최대 2인 가능)
2. 박사학위 논문 심사위원 위촉요청서 제출 (반도체공학대학원로 원본 서류 제출)
ㅇ KAIST Portal > 학사시스템 > 졸업관리시스템 > 학위논문 관리 > (학생) 1. 논문기본정보, 2. 심사위원 위촉 정보(일시/장소) 입력 > 『붙임 3-2.박사학위논문 심사위원 위촉 요청서』 를 출력 후 제출 지도교수님과 논의하여 장소를 확정 후 학생 본인이 직접 장소 예약 진행)
ㅇ (유의사항) 구성된 '박사학위 논문심사 위원회'는 계획심사(Proposal) 및 최종심사(Defense)를 모두 심사하며,
외부위원이 심사에 참여하는 경우 외부 심사위원 신규 등록 후 비고란에 소속기관, 직급, 전공분야, 박사학위 취득연도, 이메일 주소 입력
제출된 서류를 바탕으로 심사위원 위촉 공문을 발송하므로, 심사위원 변경 등의 사유가 발생할 경우, 신청서를 다시 제출해야함
3. 박사학위 논문 계획서(심사용 논문 또는 발표자료) 제출 (심사 7일 전까지 논문심사위원회에 제출)
ㅇ 『붙임 3. 석·박사 학위논문 작성 및 제출 요령』 및 『붙임 4. Template』 를 확인 후 참고하여 심사용 논문 작성
ㅇ 심사용 논문 작성 후 논문심사위원회(심사위원장, 심사위원)에 이메일 송부 (제출 시 semicon@kaist.ac.kr을 참조)
4. 박사학위 논문 계획 심사 실시
5. 박사학위 논문 계획심사 결과보고서 제출 (지도교수(혹은 학생)가 반도체공학대학원(E3-2, 1210호)으로 원본 서류 제출)
ㅇ KAIST Portal > 학사시스템 > 졸업관리시스템 > 학위논문 관리 > (학생) 3. 논문계획서/구두시험 작성 > (학생) 논문계획서 구두시험 결과보고서 양식 출력 후 심사위원에 전달 >
(심사위원) 결과보고서 양식에 심사평 작성 및 심사위원 서명 > 반도체공학대학원으로 제출
ㅇ 원격 심사 등 부득이한 사유로 친필 서명이 어려운 경우 전자 서명이 가능함 ( 『붙임 6. 서명 사본 승인서』 제출 필수)